[OECD CLI(경기선행지수)]
OECD CLI(경기선행지수)란 기업 경기 전망, 주가, 자본재 재고, 재고순환, 장단기 금리 차, 교역조건 등 6개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된다. 6∼9개월 뒤 경기를 예측하는 데 쓰인다.
향후 경기의 방향 및 전환점을 포착하기 위한 경기종합지수(선행,동행,후행)의 하나. 선행지수는 일반적으로 경기후퇴기 이전에 하락하고 상승기 이전에 상승함. 최근 경기 회복 시기와 관련하여 지표 움직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출처)
+) 한국, 중국, 미국, OECD의 CLI 그래프를 보면 흥미로운 부분이 있다. 나중에 지표들이 다시 반영되었다거나 했을 수도 있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시작되었던 중국에서 가장 먼저 지수가 떨어지고, 그를 이어 미국과 OECD가 비슷하게 하락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반면, 한국의 경우는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흥미롭다.
Economic forecasting: Using OECD leading indicators to anticipate economic trends
[관련정보]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17/2020051700420.html
4월 경기선행지수, OECD 회원국 중 한국만 상승
17일 OECD에 따르면 4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99.9로 한 달 전보다 0.1포인트 올랐다.경기선행지수란 기업 경기 전망, 주가, 자본재 재고, 재고순환, 장단기 금리 차, 교역조건 등 6개 지표를 바
biz.chosun.com
[경제 용어] OECD 경기선행(CLI) 지수란? (경기선행지수 보는 법)
[경제 용어] OECD 경기선행(CLI) 지수란? (경기선행지수 보는 법)
오늘의 용어는 OECD 경기 선행지수 입니다. 최근 아래 뉴스에서 볼 수 있듯이, OECD 경기 선행지수...
blog.naver.com
OECD 경기선행 지수란? OECD Composite Leading Indicators(OECD CLI)
OECD 경기선행 지수란? OECD Composite Leading Indicators(OECD CLI)
거시 경제 지표 중 OECD에서 매달 발표하는 경기선행지수, CLI(Composite Leading Indicators)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OECD 경기선행 지수는 경제 상황에 대한 조기 선행 지표로서 경기 회복이나 경제 위
royalroad.tistory.com
[Conference Board - Leading Economic Index]
https://conference-board.org/data/bcicountry.cfm?cid=1
The Conference Board Leading Economic Index® (LEI) for the U.S. Increased in May | The Conference Board
Support our nonpartisan, nonprofit research and insights which help leaders address societal challenges. Donate
conference-board.org
[관련정보]
https://silvernecklace.tistory.com/485
미국 경기선행지수 활용과 보는 곳
경제의 흐름을 살펴볼 때 사용하는 대표적 지표 중 하나가 경기선행지수(LEI, Leading Economic Index)다. 그 중에서도 세계 경제의 흐름을 살펴보는데 있어 가장 먼저 살펴보아야 할 것이 바로 미국의
silvernecklace.tistory.com
https://m.blog.naver.com/mkhgp/221546954085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표(Conference Board Leading Economic Indicators) 이해 및 경기판단
현재 미중간 무역전쟁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어 있으나, 그러나,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은 Macro ...
blog.naver.com
Conference board 경기선행지표(LEI)는 요즘 경제관련 미디어에서 많이 언급되는 장단기금리차 만큼 중요한 월간 경제지표이다. 컨퍼런스보드 경기종합지표는 경기방향과 전환점을 포착하는 위한 경기종합지표로서 선행(LEI), 동행(CEI) 그리고 후행지표(LAG)로 구성 되어있다. 그중 경기선행지표(LEI)는 향후 경기흐름이 어떻게 될지 보여주는 경기순환 지표 중 하나이다. 경기선행지표가 하락하면 향후 6개월안에 경기가 침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며, 반대로 경기선행지표가 상승하면 향후 6개월안에 경기가 좋아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https://m.cafe.daum.net/fxrm/DEZ4/20?q=D_wG76c5xEFRY0&
(16)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Conference Board Leading Economic Indicator)
1) 시장민감도: 보통 2) 발표기관 : 컨퍼런스보드 (전미 산업 심의회) http://www.conference-board.org/economics/consumerConfidence.cfm 3) 표일자 : 매월 하순, 전월 데이터 발표 4) 정의 : - 10개의 개별지표들에 가
m.cafe.daum.net
- 선행지수 증가 -> 채권시장 약세/ 주식시장 강세/ 달러 강세
- 선행지수 감소 -> 채권시장 강세/ 주식시장 약세/ 달러 약세
'주식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익률 곡선(Yield Curve)을 알아보자 - 그래프의 모양이 경기를 알려준다 (0) | 2021.06.25 |
---|---|
[터틀 트레이딩] 안전마진과 PBR, PEG 정리 (0) | 2021.04.26 |